디자인부트캠프

[디자인부트캠프] DAY 24 | UX리서치 준비_1

Hana’s UX Journey 2025. 2. 27. 18:46
UX리서치 준비_1

 

 

목차

 

  • 강의 개요
  • UX 리서치 대상 선정
  • 서베이 설계 및 실행
  • 인뎁스 인터뷰 개요 및 실습
  • Q&A 및 사례 공유



UX 리서치 준비 단계의 중요성

 

1. 목적에 맞지 않은 사용자를 모시면 인사이트를 얻지 못할 수 있다. 

2. 조사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타깃을 정밀히 조준해야 한다. 

3. 질문지 준비가 완료되면 파일럿 테스트를 필수적으로 진행해야 한다.



리서치 대상 선정이 제품/서비스 개선에 미치는 영향

 

-리서치 대상을 잘못 선정하면 제품과 서비스 개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잘못된 대상 선정의 영향 리서치와 맞지 않는 대상자를 선정하면 질문이 이어지지 않거나 의미 없는 답변만 나올 수 있다. 

-리서치 대상을 잘못 선정하면 제품과 서비스의 개선 방향이 잘못 갈 수 있다.



서베이와 인뎁스 인터뷰의 역할

 

서베이(Survey): 많은 사람들에게 짧은 질문을 던져서 패턴을 파악하는 방법

인뎁스 인터뷰(In-depth Interview): 적은 사람을 깊이 있게 인터뷰해서 

진짜 문제와 숨겨진 니즈를 찾아내는 방법



UX 리서치를 준비할 때 중요한 세 가지

 

1. 리서치 대상 선정이 가장 중요하다 : 모든 사용자가 아닌, 진짜 타겟 유저를 찾아야 한다.

2. 리서치 대상을 잘못 정하면 제품 개선 방향도 틀어진다 : 의미 있는 인사이트를 얻기 위해 적절한 대상을 선정해야 한다.

3. 서베이와 인뎁스 인터뷰를 함께 활용하라 : 정량적 데이터와 정성적 데이터를 조합하면 더 정확한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우리 제품을 쓰는 사람'이 아니라, 

'우리 제품을 필요로 하고, 실제로 사용할 가능성이 높은 사람'을 찾아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아무리 좋은 데이터를 모아도 잘못된 결론을 내리게 됩니다."



UX 리서치 대상 선정 기준

 

1. 유저 유형
먼저, 우리의 사용자가 어떤 유형인지 생각해야 한다

예) 카페 추천 앱을 사용하는 고객

  • '커피를 좋아하는 사람'
  • '새로운 카페를 찾아다니는 사람'
  • '할인 쿠폰을 많이 쓰는 사람'

+ 유저를 더 세분화해야 한다.

그냥 ‘커피 좋아하는 사람’이 아니라, '어떤 상황에서, 어떤 목적을 가지고 커피를 소비하는가'까지 분석

 

 

2. 제품 사용 경험
‘이미 우리 제품을 사용한 경험이 있는가’

기존 사용자와 신규 사용자의 의견은 다를 수밖에 없다. 기존 사용자는 앱의 UI/UX에 대한 피드백을 줄 수 있지만, 신규 사용자는 가입 과정에서 불편함을 느낄 수도 있다.

우리가 개선하려는 부분이 신규 사용자 경험인지, 기존 사용자 경험인지에 따라 리서치 대상도 달라져야 한다.



3. 행동 패턴
"마지막으로, 사람들이 실제로 어떻게 행동하는지를 봐야 한다.

✔ 단순히 ‘커피를 좋아한다’가 아니라, ‘매일 카페를 가는지’, ‘쿠폰을 자주 사용하는지’ 등 실제 행동 데이터를 분석해야 한다.
예) '운동을 좋아한다'는 응답을 한 사람이 정말 헬스장에 가는지 확인

우리는 '자신이 어떤 행동을 한다고 생각하는 것'과 '실제 행동'이 다를 수 있음을 기억해야 한다.



리서치 대상을 정할 때 정량적 접근(Quantitative)과 정성적 접근(Qualitative)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정량적 접근

 

데이터를 기반으로 주요 사용자 그룹을 분석

예) ‘최근 1개월 내 앱을 3회 이상 사용한 사람들’ 선정

 

정성적 접근

 

심층 인터뷰를 통해 리서치 대상 선정

예) ‘카페에서 공부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1:1 인터뷰 진행

 


UX 리서치 대상 선정

 

💡 실습 1: 특정 서비스의 UX 리서치 대상 선정하기

  1. 하나의 서비스를 정하기 (예: 카페 앱, 온라인 서점, 다이어트 앱 등)
  2. 다음 기준을 바탕으로 UX 리서치 대상을 정의

 

UX 리서치 대상 선정(예시)

 

🎯 UX 리서치 대상:

  • 20~30대 직장인 (운동할 시간이 부족한 그룹)
  • 앱을 처음 사용하는 신규 사용자
  • '다이어트를 시작했지만 실패한 경험이 있는 사람'

 

'운동할 시간이 부족한 직장인이 앱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다



💡 실습 2: 간단한 페르소나(Persona) 작성하기

  1. 팀별로 리서치 대상 중 한 명을 선정해 페르소나를 작성
  2. 아래 요소를 포함
  • 이름
  • 나이
  • 직업
  • 주요 관심사
  • 앱 사용 동기 및 목표

🎭 페르소나 예시

  • 이름: 김지수 (28세, 마케팅 직장인)
  • 관심사: 건강 관리, 다이어트, 자기 계발
  • 앱 사용 목표: 바쁜 일정 속에서도 간편하게 식단과 운동을 관리하고 싶음

실제 유저의 입장에서 UX 리서치를 하면 더 효과적으로 화면을 설계할 수 있다

 

✔ 모든 사용자를 조사하는 것이 아니라, 꼭 필요한 대상을 정해야 한다.
정량적 방법과 정성적 방법을 적절히 조합해야 한다.
✔ 페르소나를 활용하면, 사용자 중심의 리서치를 설계할 수 있다.




서베이란 무엇인가?

 

👉 ‘지난 한 달 동안, 여러분은 몇 번 외식하셨나요?’

👉 ‘지난 한 달 동안, 외식을 할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한 요소는 무엇인가요?’



✔ 첫 번째 질문은 ‘숫자로 답할 수 있는 정량적 질문’

✔ 두 번째 질문은 ‘각자의 생각을 들어볼 수 있는 정성적 질문’

 

서베이(Survey)는 사용자의 행동과 생각을 알아보는 중요한 도구



UX 리서치에서 서베이의 역할

 

예시) 헬스케어 앱을 만들었다고 가정. 다운로드 수는 많지만, 정작 사용자는 앱을 자주 열지 않음.

 

✔ ‘앱을 얼마나 자주 사용하시나요?’
✔ ‘운동 기록 기능을 얼마나 유용하게 생각하시나요?’
✔ ‘앱을 사용할 때 가장 불편한 점은 무엇인가요?’

 

이러한 질문을 통해, 우리는 사용자가 왜 앱을 잘 사용하지 않는지에 대한 단서를 얻을 수 있다.



서베이 질문 유형 (정량적 vs. 정성적 질문)

 

정량적 질문 (Quantitative Questions)

  • 숫자로 답할 수 있는 질문
  • 예) ‘하루에 몇 번 앱을 사용하시나요?’ (15회, 610회…)
  •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파악하는 데 유용

 

정성적 질문 (Qualitative Questions)

  • 사용자의 생각과 감정을 탐색하는 질문
  • 예) ‘앱 사용 시 가장 불편했던 점은 무엇인가요?’
  • 사용자의 니즈와 문제를 깊이 이해하는 데 도움

예시) ‘카페 방문 경험’을 조사한다고 가정

📊 정량적 질문:

  • ‘한 달에 몇 번 카페를 방문하시나요?’ (15회, 610회…)
  • ‘카페를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한 요소는 무엇인가요?’ (위치, 가격, 분위기, 커피 맛 등 선택지 제공)

💬 정성적 질문:

  • ‘가장 인상 깊었던 카페 방문 경험을 공유해 주세요.’
  • ‘카페를 이용하며 불편했던 점이 있다면 무엇인가요?’

1. 명확하고 구체적인 질문을 할 것
❌ 나쁜 예시: ‘앱을 자주 사용하시나요?’ (얼마나 자주?)
✅ 좋은 예시: ‘하루에 평균 몇 번 앱을 사용하시나요?’

2. 응답자가 쉽게 답할 수 있도록 할 것
❌ 나쁜 예시: ‘최근에 경험한 앱의 문제점을 모두 적어주세요.’ (너무 광범위함)
✅ 좋은 예시: ‘최근 앱을 사용하며 가장 불편했던 점은 무엇인가요? (한 가지만 적어주세요)’

3. 편향된 질문을 피할 것
❌ 나쁜 예시: ‘우리 앱은 사용하기 편리한가요?’ (편향된 표현)
✅ 좋은 예시: ‘우리 앱을 사용할 때 어려운 점이 있었다면 무엇인가요?’

 


(실습) UX 서베이 설계 실습

 

💡 실습 1: 사용자의 특정 행동을 조사하는 서베이 설계

  1. 하나의 서비스를 정하기. (예: 헬스케어 앱, 카페 앱, 전자책 서비스 등)
  2. 해당 서비스에서 개선하고 싶은 UX 요소를 하나 정한다.
  3. 서베이 질문을 5~7개 작성
  4. 조별 피드백을 주고받으면 좋음

💡 서베이 예시: 헬스케어 앱 사용성 조사
📊 정량적 질문:

  • ‘하루에 몇 번 앱을 사용하시나요?’ (15회, 610회…)
  •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능은 무엇인가요?’ (운동 기록, 식단 관리, 커뮤니티 등 선택)

💬 정성적 질문:

  • ‘앱을 사용하면서 가장 불편했던 점은 무엇인가요?’
  • ‘이 앱이 더 개선되었으면 하는 부분이 있다면 어떤 점인가요?’

 

💡 실습 2: Google Forms 또는 다른 Typeform을 활용한 서베이 작성

  1. 직접 Google Forms 또는 다른 Typeform을 활용해 서베이를 만들어보기.
  2. 작성한 서베이를 조원들과 공유하고 피드백을 받아 개선하기.

 

✔ 서베이는 UX 리서치에서 사용자 행동과 니즈를 파악하는 강력한 도구이다.

정량적 질문과 정성적 질문을 적절히 조합해야 한다.

✔ 좋은 질문을 만들기 위해 명확하고 구체적인 표현을 사용해야 한다.

 


인뎁스 인터뷰란?

 

예제) 친구가 나에게 고민을 이야기함

 

✔ '응, 그랬구나 알겠어'

✔ '그게 왜 그렇게 힘들었어? 더 자세히 이야기해줄수있어?'

 

사용자의 경험을 더 깊이 이해하기 위해 질문을 던지고, 그들이 진짜로 원하는 것을 찾아내야 한다.

이것이 바로 인뎁스 인터뷰(In-depth Interview)의 핵심


예시) UX 서베이를 통해 이런 데이터를 얻었다고 가정

 

✅ 75%의 사용자가 '앱의 UI가 불편하다'라고 답변함

그럼 우리는 어떻게 개선해야 할까요?

  • 버튼을 키워야 할까요?
  • 색상을 바꿔야 할까요?
  • 아니면 메뉴 구성을 변경해야 할까요?"

 

바로 이럴 때 필요한 것이 인뎁스 인터뷰

서베이는 ‘무엇’이 문제인지 알려주지만, 인뎁스 인터뷰는 ‘왜’ 그런 문제가 생겼는지 파악하게 도와줌

 

📌 실제 사례: 어떤 금융 앱에서 '사용자들이 가입을 어려워한다'는 피드백

UX 서베이만으로는 가입이 왜 어려운지 알 수 없음 그래서 인뎁스 인터뷰를 진행

👉 사용자들은 가입 과정에서 "본인 인증 절차가 너무 길다"는 점을 가장 불편하게 느끼고 있었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 결과, 앱 가입 절차를 단순화하는 방향으로 개선했고, 이후 가입률이 30% 증가했다.

인뎁스 인터뷰는 사용자의 ‘진짜 문제’를 발견하는 강력한 도구


질문 구성법 (오픈 질문 vs. 폐쇄 질문)

 

폐쇄형 질문:

  • "우리 앱이 편리한가요?" (네/아니오)
  • "이 기능을 사용해 본 적 있나요?" (네/아니오)

오픈형 질문:

  • "우리 앱을 사용할 때 어떤 점이 가장 불편했나요?"
  • "이 기능을 사용할 때 어떤 경험을 하셨나요?"

UX 리서치에서는 오픈형 질문을 활용



좋은 인터뷰를 위한 팁 (Rapport 형성 & Follow-up 질문)

 

💡 Rapport 형성 방법:

✔ 인터뷰 시작 전에 가벼운 대화로 긴장 풀어주기

✔ 적극적으로 고개 끄덕이며 반응해주기

✔ ‘이건 정답이 없는 질문이에요. 편하게 이야기해주세요.’라고 말해주기

 

📝 Follow-up 질문 기법
좋은 인뎁스 인터뷰에서는 Follow-up 질문이 필수

예시로 사용자가 이렇게 답했다고 가정

💬 사용자: '가입 과정이 너무 복잡했어요.'

라고 답변이 온다면 여기서 끝내는 것이 아닌

✔ '어느 부분이 가장 어렵다고 느꼈나요?'
✔ '그 과정에서 어떤 감정을 느끼셨나요?'

와 같이 추가 질문을 던져야함


💡 실습 1: 2인 1조 인터뷰 실습

  1. 두 명씩 팀을 이루고, 한 명은 인터뷰어, 한 명은 사용자 역할
  2. 주제: '최근에 사용한 앱 중 가장 만족스러웠던 경험과 불만족스러웠던 경험'
  3. 인터뷰어는 오픈형 질문과 Follow-up 질문을 활용하여 인터뷰를 진행
  4. 5분 후, 역할을 바꿔 진행(꼭 5분이 아니여도 됩니다)

🗣 인터뷰어: "최근 사용한 앱 중 가장 만족스러웠던 경험이 있다면 공유해 주실 수 있을까요?"

💬 사용자: "음… 저는 ‘배달의 민족’을 자주 사용하는데, 요즘 ‘1인분 배달’ 서비스가 좋아요."

🗣 인터뷰어: "오! 1인분 배달이 좋다고 하셨는데, 어떤 점이 특히 만족스러웠나요?"

💬 사용자: "예전에는 2인분 이상 주문해야 했는데, 이제는 혼자서도 배달비 부담 없이 주문할 수 있어서요."

🗣 인터뷰어: "그렇군요! 그런데 혹시 그 과정에서 불편했던 점은 없었나요?"

 

✔ 서베이는 ‘무엇’이 문제인지 알지만, 인뎁스 인터뷰는 ‘왜’ 그런 문제가 생겼는지 알게 해준다.

✔ 오픈형 질문과 Follow-up 질문을 적절히 활용해야 한다.

✔ Rapport를 형성하면 사용자들이 더 솔직한 답변을 한다.



오늘의 과제

 

서베이 조사 문항 작성 및 실행

https://docs.google.com/forms/d/e/1FAIpQLSd0kL-GXmljFoNXlICSlU0oe-zybEOTZXEtvcHS_uvQkzGIlQ/viewform?usp=preview

 

교보문고 앱 사용자 경험(UX/UI) 개선을 위한 설문조사

안녕하세요! 👋 교보문고 앱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이번 설문은 디자인 스터디를 목적으로 교보문고 앱의 **사용자 경험(UX/UI)**을 개선하기 위한 소중한 의견을 듣고자 진행됩니다.

docs.google.com

 

저는 교보문고 앱을 개선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작성해보았습니다.

시간 되신다면 서베이 참여해주신다면 크게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