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35

[디자인부트캠프] DAY 40 | 데이터 시각화

🚀 고급 시각화 기법 설명1. 다중 축 그래프 (Dual-axis Chart)특징: 하나의 그래프에 두 개 이상의 축(y축)을 사용하여 서로 다른 단위나 범위의 데이터를 동시에 표현할 수 있음.어떻게 사용하나요?예를 들어, x축에 시간(월)을 두고, 왼쪽 y축엔 ‘판매량’, 오른쪽 y축엔 ‘광고비’를 표시하여 두 지표의 관계를 한눈에 비교합니다.Excel, Tableau, Power BI, Python (Plotly/Matplotlib) 등에서 지원됩니다.언제 사용하나요?서로 다른 단위를 가진 데이터를 비교할 때 좋습니다. 예: ‘방문자 수 vs 매출액’, ‘온도 vs 전기 사용량’ 등.2. 히트맵 (Heatmap)특징: 값의 크기나 밀도를 색의 농도나 밝기로 시각화한 표 형식 그래프.어떻게 사용하나요..

[디자인부트캠프] DAY 31 | UX 리서치 실전(2)

UX 리서치 실전(2) 📌 ‘UX 리서치를 진행한 후, 이 데이터를 어떻게 활용할까?’리서치를 통해 많은 데이터를 수집했다사용자 인터뷰, 설문조사, 사용성 테스트, 데이터 분석 결과까지우리는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자 경험을 조사했다하지만 데이터를 많이 모았다고 해서,자동으로 UX가 개선되는 것은 아니다데이터를 모으는 것만으로는 아무 의미가 없다UX 리서치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데이터를 분석하여 의미 있는 인사이트를 도출하고,이를 바탕으로 UX를 개선하는 것UX 리서치 데이터를 분석하는 과정은 크게 네 단계로 나눌 수 있다📌 UX 리서치 결과 분석 4단계: 단계설명예제 (이커머스 UX 개선)1️⃣ 데이터 정리설문조사, 인터뷰, 사용성 테스트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정리‘사용자의 60%가 장바구니 ..

[디자인부트캠프] DAY 30 | UX 리서치 실전(1)

UX 리서치 실전(1) 목차 강의 개요UX 리서치 프로세스 단계별 접근실제 사례 분석 & UX 리서치 기획 실습실습: UX 리서치 기획UX 리서치는 실제 프로젝트에서 어떻게 진행될까? 기업들이 UX 리서치를 어떻게 활용했는지 사례를 통해 살펴볼 차례우리가 알고 있는 글로벌 기업들도UX 리서치를 통해 제품을 개선하고, 사용자 경험을 최적화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오늘 다룰 내용은 크게 세 가지📌 오늘 강의에서 다룰 핵심 내용:✅ 실제 기업들의 UX 리서치 사례 분석TikTok: 영상 추천 알고리즘 UX 개선Sephora: 온라인 쇼핑에서 색상 선택 UX 개선Nike: 운동 앱에서 사용자 유지율 증가✅ UX 리서치 프로세스 단계별 이해UX 리서치는 ‘목표 설정 → 리서치 수행 → 데이터 분석 → 개..

[디자인부트캠프] DAY 29 | UX 리서치 분석과 문제 정의

UX 리서치 분석과 문제 정의 목차 강의 개요고객여정지도란 무엇인가?고객여정지도 작성 방법 및 사례분석고객여정지도 실습  사용자는 어떤 경험을 하고 있을까? 사용자가 서비스를 사용할 때 어떤 과정을 거칠까?✔ 로그인부터 시작해서?✔ 메인 화면을 탐색하고?✔ 결제를 하거나, 상품을 찾거나, 특정 기능을 이용하는 과정까지?또 다른 중요한 질문📌 사용자는 어떤 순간에 만족하고, 어떤 순간에 불편함을 느낄까?💡 예제: 배달 앱을 사용하는 과정1️⃣ 로그인 & 위치 설정 – 처음 로그인했을 때 내 위치가 자동으로 설정되지 않으면 불편.2️⃣ 음식 메뉴 검색 – 검색 결과가 너무 많으면 선택이 어려움.3️⃣ 주문 및 결제 – 할인 쿠폰을 찾기 어려우면 구매 포기 가능성 증가.4️⃣ 배달 대기 시간 – 배달 예상..

[디자인부트캠프] DAY 28 | UX 리서치 분석과 문제 정의

UX 리서치 분석과 문제 정의 목차 강의 개요페르소나란 무엇인가?페르소나 작성 방법 및 사례분석페르소나 실습UX 리서치를 통해 다양한 사용자 데이터를 수집했다그런데, 이 데이터를 어떻게 분석해서 UX 개선에 활용할 수 있을까? ✔ 설문조사, 인터뷰, 사용성 테스트 결과가 있지만, 한눈에 보기 어렵다✔ 사용자가 다 다르기 때문에, 누구를 기준으로 분석해야 할지 모호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페르소나(Persona)와 고객 여정 지도(Customer Journey Map)를 사용먼저 페르소나를 활용해 UX 데이터를 분석하는 방법을 배우기 왜 페르소나가 필요할까?✔ 팀원들과 같은 프로젝트를 하고 있는데, 사용자가 누구인지 서로 다른 이야기를 하고 있는 경우✔ UX 디자인을 할 때, ‘이 기능이 좋을까,..

[디자인부트캠프] DAY 27 | UX 리서치 케이스

UX 리서치 케이스  오늘의 내용은 교육을 위해 실제 사례 기반 + UX 리서치 프레임워크에 맞춰 논리적으로 재구성한 내용입니다. 목차 Duolingo: 학습 지속률을 높이기 위한 UX 개선Starbucks: 모바일 주문 앱의 UX 최적화Uber: 드라이버 경험 개선을 위한 UX 리서치ZARA: 온라인 쇼핑 UX 최적화 LinkedIn: 프로필 작성률 향상을 위한 UX 리서치Duolingo UX 개선 사례Duolingo: 학습 지속률을 높이기 위한 UX 개선 📍 배경 및 문제점Duolingo는 ‘무료 외국어 학습 앱’으로 유명하지만,사용자들이 학습을 꾸준히 유지하는 비율이 낮아지는 문제를 발견.일주일 이상 지속적으로 학습하는 사용자가 50% 이하였음.📍 UX 리서치 방법✅ 사용자 행동 데이터 분석 (..

[디자인부트캠프] DAY 26 | UX 리서치 실행

DAY 26 | UX 리서치 실행목차 강의 개요고급 UX 리서치 전략 및 설계심화 인터뷰 기법: 심층 인터뷰 및 맥락적 탐구심화 사용성 테스트 기법 및 실행UX 리서치 데이터의 질 관리 및 윤리적 실행 방법UX 리서치를 깊이 있게 실행하는 이유와 기대효과 만약 여러분이 운영하는 카페의 손님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면, 어떤 질문을 던지시겠어요?손님들이 어떤 순간에, 어떤 이유로 이탈하는지 명확히 알아내는 것표면적인 데이터를 모으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무엇을 느끼고 있는지'✔ 사용자가 '진짜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사용자가 '자신도 인지하지 못했던 문제는 무엇인지'이런 깊은 부분까지 알아내야 진짜로 사용자 경험을 개선할 수 있다 오늘 다룰 심화된 리서치 실행 방법과 전략 소개 ✅ 첫 번째, 전략적 리..

[디자인부트캠프] DAY 25 | UX리서치 수행_1

UX리서치 수행_1  목차 강의 개요UX 리서치 실행 프로세스 이해사용성 테스트(Usability Testing) 실습 진행UX 리서치 실행을 위한 인터뷰 진행Q&A 및 사례 공유 UX 리서치 필요 이유사용자가 겪은 불편함을 이해하기:예시:친구가 맛집을 추천했는데, 막상 가보니 기대 이하였던 경험.앱을 다운로드했지만, 사용법이 어려워서 바로 삭제했던 경험.온라인 쇼핑몰에서 제품이 마음에 들었지만, 결제 과정에서 포기한 경험.기업이 사용자의 불편함을 깨닫기 어려움:기업은 사용자가 앱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직접적으로 알기 어렵다.왜 사람들이 이탈하는지왜 제품을 사용하지 않는지왜 기대한 대로 행동하지 않는지이런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UX 리서치를 실행해야 합니다.  Step 1: 리서치 목표 ..

[디자인부트캠프] DAY 24 | UX리서치 준비_1

UX리서치 준비_1  목차 강의 개요UX 리서치 대상 선정서베이 설계 및 실행인뎁스 인터뷰 개요 및 실습Q&A 및 사례 공유UX 리서치 준비 단계의 중요성 1. 목적에 맞지 않은 사용자를 모시면 인사이트를 얻지 못할 수 있다. 2. 조사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타깃을 정밀히 조준해야 한다. 3. 질문지 준비가 완료되면 파일럿 테스트를 필수적으로 진행해야 한다.리서치 대상 선정이 제품/서비스 개선에 미치는 영향 -리서치 대상을 잘못 선정하면 제품과 서비스 개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잘못된 대상 선정의 영향 리서치와 맞지 않는 대상자를 선정하면 질문이 이어지지 않거나 의미 없는 답변만 나올 수 있다. -리서치 대상을 잘못 선정하면 제품과 서비스의 개선 방향이 잘못 갈 수 있다.서베이와 인뎁..

[디자인부트캠프] DAY 23 | UX리서치 방법론

UX리서치 방법론 목차고급 정성적 리서치 기법고급 정량적 리서치 기법 혼합 방법론최신 UX 리서치 동향 및 도구실무 적용 전략 고급 정성적 리서치 기법 맥락적 탐구(Contextual Inquiry)개념 소개: 사용자의 실제 환경에서 관찰과 인터뷰를 결합하여 심층적인 인사이트를 도출하는 방법입니다.적용 방법: 현장 방문을 통해 사용자의 작업 흐름을 관찰하고, 동시에 인터뷰를 진행하여 사용자의 목표와 동기를 이해합니다.주의사항: 관찰 시 방해를 최소화하고, 인터뷰에서는 개방형 질문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자연스러운 행동과 생각을 이끌어내야 합니다. 실제 사례: 소프트웨어 개발 회사에서 고객 지원 팀의 업무 환경을 분석하여 인터페이스 개선에 성공한 사례한 소프트웨어 회사에서 새로운 프로젝트 관리 도구를 개발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