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부트캠프

[디자인부트캠프] DAY 22 | UX리서치 기본 개념과 유형_1

Hana’s UX Journey 2025. 2. 26. 17:21
UX리서치 기본 개념과 유형

 

목차
  • UX 리서치의 개요
  • UX 리서치의 주요 유형
  • 데스크 리서치의 이해와 방법론
  • 문제 정의의 중요성과 접근 방법

UX 리서치란?

  • 목적: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자의 행동, 요구, 동기 등을 조사하는 과정.
  • 목표: 제품/서비스와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이를 개선하는 것이 주된 목표입니다.
  • 방법: 사용자 인터뷰, 설문조사, 사용성 평가 등 다양한 피드백 방법을 통해 사용자 행동을 이해하고 그에 따라 개선점을 도출합니다.
  • 1993년 애플 컴퓨터의 부사장으로 재직하던 도널드 노먼이 자신의 직함으로 'User Experience Architect(사용자 경험 건축가)'라는 호칭을 사용하면서부터 UX가 대중적으로 알려지게됨

 

  1. 정성적 리서치
    • 목적: 사용자의 행동과 태도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방법.
    • 방법: 심층 인터뷰, 포커스 그룹 인터뷰, 관찰 등을 통해 사용자의 경험을 분석합니다.
    • 특징: 사람들의 감정, 인식, 동기 등을 탐구하고, 사용자의 주관적인 의견을 반영하는 데 집중합니다.
    •  
  2. 정량적 리서치
    • 목적: 데이터 기반의 분석을 통해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추출하는 방법.
    • 방법: 설문조사나 웹 분석 툴 등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행동을 수치적으로 측정합니다.
    • 특징: 대규모 데이터를 수집하고, 통계적 방법을 사용하여 구체적이고 명확한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
  3. 데스크 리서치
    • 목적: 기존의 자료나 리포트를 통해 시장이나 사용자에 대해 알아보는 방법.
    • 방법: 시장 보고서, 학술 논문, 인터넷 자료 등을 통해 기본적인 정보를 조사하고 이해합니다.
  4. 문제 정의
    • 목적: 사용자 문제를 명확하게 정의하여 해결 방향을 설정하는 단계.
    • 방법: 문제를 정의하기 위해 사용자와의 상호작용 및 요구 사항을 정확히 파악해야 합니다.
  5. 문제 정의 접근 방법
    • 페르소나 작성: 사용자의 대표적인 특성을 기반으로 페르소나를 작성하여 구체적인 문제를 정의합니다.
    • 여정지도 작성: 사용자의 경험 여정을 시각적으로 나타내어 각 단계에서 겪는 문제를 정의합니다.
    • 5Whys 기법: 문제의 근본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왜?’를 다섯 번 반복하여 문제의 깊이를 분석합니다.

참고 링크 

 

 

1. 사용자 인터뷰 & 설문 조사 툴

  • Typeform: 직관적이고 아름다운 설문을 만들 수 있는 툴로, 사용자 경험을 설계하고 데이터를 쉽게 수집할 수 있습니다.
  • SurveyMonkey: 설문을 통해 사용자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데 유용한 툴입니다.
  • Google Forms: 무료로 설문을 생성하고 응답을 수집할 수 있는 간단한 툴입니다. 특히 초보자에게 유용합니다.

2. 사용성 테스트 툴

  • Lookback.io: 원격 사용자 인터뷰 및 사용성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실시간 피드백을 받을 수 있습니다.
  • Hotjar: 웹사이트에서 사용자의 행동을 분석할 수 있는 툴로, 히트맵, 세션 리플레이, 설문 조사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 UsabilityHub: 사용자 피드백을 빠르게 받을 수 있는 플랫폼으로, 여러 가지 유형의 사용성 테스트를 제공합니다.

3. 분석 툴

  • Google Analytics: 웹사이트 방문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행동을 추적하고 패턴을 이해할 수 있는 강력한 툴입니다.
  • Crazy Egg: 사용자의 행동을 시각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툴로, 히트맵과 스크롤 맵 등의 기능을 제공합니다.

4. 사용성 리서치 & 피드백 툴

  • UserTesting: 실제 사용자를 대상으로 다양한 사용성 테스트를 진행하고, 사용자의 피드백을 직접 얻을 수 있는 툴입니다.
  • Optimal Workshop: 정보 구조와 IA(정보 아키텍처) 테스트를 통해 사용자의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5. 프로토타입 및 와이어프레임 툴

  • Figma: 디자인, 프로토타입, 협업을 한 곳에서 할 수 있는 툴로, 팀원과 실시간으로 협업할 수 있습니다.
  • InVision: 디자인을 프로토타입화하고, 사용자 테스트를 위한 인터랙티브한 디자인을 만들 수 있는 툴입니다.

6. UX 리서치 문헌 및 학습 자료

  • NNG (Nielsen Norman Group): UX 리서치와 디자인에 관한 다양한 자료와 리포트를 제공합니다. 전문가의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 UX Design: UX 디자인에 관한 다양한 리소스와 블로그, 기사를 제공합니다.

 

 

 

 

문제정의, 어떠한 문제를 해결할 것인지가 중요하다.

ux 방법론을 바탕으로 근거있는 프로젝트를 진행해볼 예정이다.